최근 금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가운데, 일부 시중은행과 한국 금거래소에서 골드바 판매가 중단되었습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잇단 관세 확대 예고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며 금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한국조폐공사는 이와 관련하여 골드바 판매를 일시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조폐공사의 골드바 판매 중단
한국조폐공사는 11일 시중은행에 골드바 판매 중단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하였으며, 온라인 쇼핑몰에도 같은 내용의 공지를 올렸습니다. 공지문에 따르면, 조폐공사는 금 원자재 수급 문제로 인해 골드바 상품에 대한 판매를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조폐공사는 "현재 원자재 수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빠른 시일 내에 판매가 재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골드바 주문 및 배송 일정
조폐공사는 지난 10일 주문 건에 대해서는 원자재 수급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작해 배송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배송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추가 공지를 하겠다는 계획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KB국민은행은 12일부터 골드바 판매를 중단하며, 한국금거래소에서 제공받던 물량도 지난해 11월부터 일시 판매가 중단되었습니다.
우리은행은 조폐공사 외 한국금거래소에서 판매하는 1㎏ 골드바를 한정해 판매할 계획이며,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기존 판매를 유지할 방침입니다. 하지만 수요가 높은 종류의 골드바는 수급이 오래 걸리거나 판매가 일시 중단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금값 급등의 배경
이와 같은 금 품귀 현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관세 전쟁'을 시작하며 안전자산으로서의 금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골드뱅킹 계좌는 10일 기준으로 27만7551개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2월 이후 1년 새 2만 개 이상의 계좌가 새롭게 개설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골드바 판매액도 이달 들어 168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12월 한 달 치 실적(142억원)을 이미 넘어섰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 거래 대금은 3일 557억원에서 11일에는 971억원으로 급증했습니다.
금값과 시장 전망
1㎏짜리 '금 99.99' 가격은 11일 기준 1g당 15만9410원을 기록하며, 올해 들어 24.68% 상승했습니다. 국제 금값은 사상 처음으로 트로이온스당 '3000달러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선물 가격은 지난 10일(현지시간) 기준 장중 한때 2% 이상 급등해 2968.50달러를 기록했으며, 금 현물 가격도 트로이온스당 2911.30달러까지 치솟아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결론
현재 금값이 급등하며 골드바 판매가 중단된 상황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골드바는 안정적인 자산으로 여겨지며, 앞으로의 시장 전망에 따라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이 시점을 주의 깊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골드바와 금값의 변동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세상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 내 보조배터리, 전자담배 규제 강화... 보관은 이렇게? (4) | 2025.02.14 |
---|---|
비극적 사건 속 아이브와 장원영의 의미 있는 연결 (3) | 2025.02.13 |
온몸으로 맞이하는 봄맞이 제철 음식 '이것' 먹고 혈관 건강 예방하자! (4) | 2025.02.11 |
아이돌의 귀환? 최승현의 빅뱅 재합류 가능성 분석 (2) | 2025.02.11 |
또 다시 논란...트럼프 대통령의 급발진 '관세전쟁' 비트코인 나락으로... (6) | 2025.02.10 |